고급협동조합의 OSM
article thumbnail

전 세계의 하천 유역.

https://amandasaurus.github.io/osm-river-basins/?tiles=planet-waterway-name-no-group

 

River Basins

 

amandasaurus.github.io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가공해서 하천이 어느 주요 강에 속해 있는지 보여주는 지도입니다.

 

단순히 waterway=river 태그만 사용하는 방식, waterway와 name 태그를 사용하되 하천 분류는 기하학적 위치만을 이용하는 방식, waterway와 name 태그를 사용하면서 기하학적 위치+이름으로 하천을 분류하는 방식, 총 세 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 올라온 이미지는 전부 두 번째 하천 분류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첫 번째 방식은 하천이 다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세 번째 방식은 자그마한 지류까지 전부 본류와 별도의 강으로 처리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제주도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하천 유역.
제주도의 하천 유역.
일본 규슈 및 시코쿠 지역의 하천 유역도. 오픈스트리트맵이 충실하다면 원래 이렇게 떠야 하는 것 같습니다.

일본은 강과 하천이 매우 자세하게 나타나 있었습니다. 한국 지역 OSM을 그릴 때 딱히 안 그려진 하천이 많다는 생각은 안 들었는데, 일본에 비해 왜 한국 지역의 하천 유역도는 세세하게 나타나지 않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하천이 존재함에도 지도에서 강조되지 않는 모습.

위와 같이 하천이 존재함에도 지도에서 강조되지 않는 부분을 찾았습니다. 문제가 뭔가 하고 봤더니, 지도에서 강조된 부분에는 name=홍천강 태그가 붙어 있는 반면, 강조되지 않는 부분에는 태그가 안 붙어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오로지 waterway=river 태그만 가지고 산정하는 방식을 써 보았으나, 이번에는 역으로 없어지는 강들이 생깁니다.

 

오픈스트리트맵의 하천과 실제 하천 데이터를 비교한 모습(우측 자료 출처: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80.php)

그래서 애초에 한반도에는 일본 열도보다 하천이 적은 게 아닐까 해서 국토부 자료를 찾아봤으나, 아쉽게도 그냥 오픈스트리트맵이 충실하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이 문제도 시간이 지나고 하천 정보를 적극적으로 추가하는 오픈스트리트맵 기여자가 늘어나면 해결되지 않을까 싶네요. 저도 앞으로 하천 데이터에 신경을 더 써야겠습니다.

 

profile

고급협동조합의 OSM

@고급협동조합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