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스트리트맵 위키에서 '그룹'의 사용법
·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OSM 위키
미디어위키에는 '분류'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미디어위키 엔진을 사용하는 오픈스트리트맵 위키에는 이 분류를 응용해서 틀(Template)을 문서에 달 때 알맞은 분류가 딸려 나오도록 틀을 짜 놓았죠. 이 5개의 분류는 전부 수동으로 집어넣은 것이 아닌, 자동으로 생성된 것입니다. 처음의 3개는 'Template:TagDescription'에서 생성된 분류입니다. 5번째 분류는 화살표로 설명해 놓았듯이 저 틀을 집어 넣어서 생겼습니다. 4번째 분류는 '특정 그룹'에 속해 있을 경우(번역도 포함. 예를 들어 group=자연이라고 써 놓아도 카테고리 리다이렉트를 통해 natural인 것을 인식함) 이탤릭체로 생성되는 분류입니다. 영어일 때에만 이탤릭체고 번역하면(Ko:자연 등) 이탤릭이 빠지지만요. 이때 gro..
"수정된 개체 업데이트"에서 불러오는 개체가 너무 많을 때
·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JOSM
들어가기에 앞서JOSM에는 "수정된 개체 업데이트"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처음에 Overpass API로 넓은 영역의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한번에 다운로드받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이럴 때 충돌을 미리 막으려고 "데이터 업데이트"를 누르면 Overpass API가 아닌 오픈스트리트맵 API로 데이터를 가져오려 하기 때문에 너무 넓는 영역을 다운로드하려 한다는 오류가 뜹니다.이럴 때에는 "수정된 개체 업데이트"를 누르면 테두리 상자(Bounding Box)가 아닌 개체 단위로 각각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영역 오류는 뜨지 않습니다. 하지만 수정한 개체가 너무 많을 때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죠. 위와 같은 경우는 그나마 적은 경우고, 수십만 개를 가져오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러면 10~30분은 ..
오픈스트리트맵에서 징검다리를 추가하는 방법
·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오픈스트리트맵
JOSM을 이용한 방법 징검다리가 있는 곳을 찾습니다. 징검다리를 나타내기 위해 선을 그어 줍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이 반드시 양 끝은 다른 도로와 연결되어야 하고, 강 한가운데 있는 waterway 선과 반드시 노드를 공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징검다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계단(highway=steps, incline=up)으로 처리해 주었습니다. 징검다리가 될 가운데 부분은 highway=foodway 에다가 ford=stepping_stones 를 추가로 달아 줍니다. JOSM에서는 보도인 녹색과 수로인 파란색이 교대로 표시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iD를 이용한 방법 징검다리를 찾...기 전에 배경 지도부터 바꿔야겠습니다. 수도권은 안 그런 것 같던데, 지방(여기에서는 광주)에서는 B..
OSM 위키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분류에 관해
·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OSM 위키
Template:DescriptionCategoriesLang 표 내용 중 한국어 부분입니다. 문서에 위와 같은 표를 넣으면 자동으로 분류가 생성되는데요, 그 분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표가 바로 저 위의 Template:DescriptionCategoriesLang 표입니다. 여기에서 다른 텍스트는 카테고리가 없어도 생성되지만, 위에서 빨간색으로 밑줄 쳐 놓은 3개는 지정된 카테고리가 미리 생성되어 있지 않다면 분류 자체를 만들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저는 좀 헤맸습니다... Ko:"{{{key}}}" 키에 속하는 태그 설명에 맞추어 미리 카테고리를 만들어 놓아야 위와 같이 분류가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일어날 강수량 변화(2050년대)
·
지리 관련
주간OSM 430에서 다음과 같은 글이 올라왔습니다.The Relevator에서 기후 변화가 초래할 2050년까지의 강우·강설량 변화를 추정해 지역별로 보여 주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예측한 변화를 지도에서 지역 단위로 볼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 기후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습니다. 강우량도 (그리고 강설량) 그 중 하나가 될 수 있고요. 위 이미지는 이번에 주간OSM 430에서 언급된 강수량·강설량 변화 지도입니다. 붉은 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현재 대비 2050년에 강우량이 감소하는 지역, 녹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현재 대비 2050년에 강우량이 증가하는 지역입니다. 위 지도는 https://dipika.carto.com/maps에서 볼 수 있으며, 이 지도 외에도 운석이 떨어진 위치 등,..
감시 하의 감시(Surveillance under Surveillance)
·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오픈스트리트맵
우리 주번에는 용도는 각기 다르지만 감시 카메라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외국에 비해 그 개수가 꽤나 많은 편인데요, 이 감시 카메라를 오픈스트리트맵에 등록해서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을 동시에 지키자는 사람이 일본에 있었습니다. 위의 일본어 원본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감시 카메라와 프라이버시817817님이 Japanese(日本語)로 2018년 9월 16일에 게시함 본문 저는 감시 카메라를 찾아내면 최대한 OSM에 등록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사람들이 현재 생활하면서 얼마나 많은 감시 카메라에 포착되는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권리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주는 프라이버시 측면의 효과와, 큰 행사 때 경찰 등이 실시하는 '보이는 경비'처럼 감시 카메라의 존재를 알림으로써 범죄를 예방하는 ..
오픈스트리트맵에 적용할 편의점 브랜드 "세븐일레븐" 태그 양식
·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분류가 중요합니다. 이는 오픈스트리트맵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데, 우리나라는 개개인이 다른 기여자의 기여분을 참고해서 기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관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 OSM 위키에 지도 제작의 기준을 제시하고 합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서 국제 브랜드 같은 경우에는 OSM 기여가 활발한 국가의 사례를 참고하거나 빌려올 수 있어서 이러한 기준을 잡기에 유리합니다. 이번 세븐일레븐의 경우도 이와 같습니다. 일본의 사례를 찾아보기 위해서 Overpass Turbo 쿼리 마법사에서 "brand"="7 ELEVEN"를 입력한 뒤 "쿼리를 구축하고 실행"(Build query and execute)를 눌러서 쿼리를 완성하고,..
JOSM에서 유효성 검사 자동으로 고치기
·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JOSM
보통 자신이 잘 아는 지역만을 편집한다면 그런 경우가 적겠지만, 도시 전체에 관심을 두고 편집하는 사람이라면 JOSM 유효성 검사를 돌렸을 때("JOSM에서 오픈스트리트맵 지도 유효성 검사하기" 참고) 오류가 수백 개, 경고가 수천 개가 뜨는 경우가 많아 편집할 엄두가 안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뜩이나 "오류"에는 노드(node)가 겹쳐 있다든가 하는 오류가 많아서 사람이 손으로 편집하기는 매우 번거롭고 힘이 들죠. 이러한 작업은 융통성 없이 컴퓨터로 바로 처리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JOSM에서는 이를 위해 자동으로 오류를 고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JOSM 버전 14178, 2018-08-22 17:46:33 업데이트 기준입니다. 하는 법 유효성 검사를 돌립니다.(돌리는 방법은 "JO..